2025/04/12 2

사회 심리학: '사회적 비교'와 현대인의 불안

사회적 비교 이론의 개요 사회적 비교 이론은 사회심리학자 레온 페스팅거(Leon Festinger)가 1954년에 제안한 개념으로, 사람들은 자기 자신을 평가하거나 판단할 때 타인과 비교함으로써 스스로를 이해하고자 한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합니다. 즉, 절대적인 기준이 아닌 상대적인 기준을 통해 자존감을 유지하거나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려는 심리가 작동한다는 것입니다. 현대 사회는 SNS, 유튜브, 뉴스, 광고 등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타인의 삶이 매우 쉽게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무의식적인 비교를 지속적으로 유도합니다. 우리는 타인의 성공, 외모, 라이프스타일을 접하면서 자신과 비교하게 되고, 그 결과 우월감 혹은 열등감을 느끼게 됩니다. 이는 자존감, 행복감, 심지어 정신 건강에도 깊은 영..

심리학 2025.04.12

사회 심리학: 연예인과 악플러를 바라보는 사회심리학적 시선

대중심리와 이상화된 이미지 연예인은 사회적으로 주목받는 위치에 있으며, 대중에게 사랑받는 만큼 끊임없는 평가와 감시에 노출됩니다. 사회심리학에서 이는 '대중심리' 혹은 '군중심리' 개념과 맞닿아 있습니다. 구스타브 르 봉(Gustave Le Bon)의 이론에 따르면, 개인은 집단 속에서 익명성을 가지면서 이성적 사고보다 감정적 반응에 이끌리게 되며, 비판적 사고 없이 타인의 의견에 쉽게 동조하게 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연예인은 대중의 이상화된 욕망을 투사하는 대상이 되며, 그들의 사소한 행동조차 확대 해석되기 쉽습니다. SNS나 온라인 커뮤니티는 집단의 정서가 실시간으로 퍼지고 증폭되는 통로가 되며, 특정 연예인에 대한 감정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빠르게 확산되는 구조를 띕니다.악플러의 심리익명성과 공..

심리학 2025.04.12